간단한 음식을 식단에 추가하면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다. 삶이 우울해질 정도로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이 있다면, 병원을 통한 치료와 함께 항산화, 항염증 및 진통 성분이 있는 음식을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현재까지도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인 분야이긴 하지만, 특정 식품들은 관절염으로 인해 발생한 염증과 통증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상태이기도 하다.
다음은 관절염의 통증을 줄이고, 심장 건강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음식들이다.
베리류, 사과, 석류
베리에는 항산화제가 풍부하고, 특히 블루 베리, 블랙 베리, 딸기, 크랜베리, 라즈베리 및 보 이젠 베리 등은 모두 관절염을 퇴치하는 효과가 있다. 냉동된 제품이나 신선 식품, 또는 말린 것 역시 효과가 있으므로 일주일 내내 다양한 베리를 섭취하면 좋다.
사과 또한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고 섬유질이 풍부하다. 또한 사과는 건강에 해로운 간식에 대한 식욕을 억제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베리 과일로 분류되는 석류 역시 관절염의 염증을 없애는 탄닌이 풍부하다. 샐러드에 추가하거나 플레인 요거트에 넣어 저어서 먹으면 좋다.
연어, 참치, 정어리, 고등어
오메가 -3 지방산이 풍부해 염증을 줄여주는 생선들이다.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이들 생선을 식탁에 올리는 것이 심장을 보호하고 염증을 감소하는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이 된다.
신선한 생선을 구하기 힘들다면 정어리, 연어 또는 참치 통조림을 구입하는 것도 좋다.
다만 통조림 제품을 고를 때는 나트륨 함량이 낮은 것을 제대로 선택하자.
야채
콜리 플라워, 버섯, 콩나물, 브로콜리와 같은 항염증 야채를 매일 식단에 포함시켜 먹도록 하자. 무침을 하거나 샐러드로 먹거나, 취향에 따라 섭취하면 된다.
다크 초콜릿
다크 초콜릿은 염증을 완화하는데 좋다고 널리 알려져 있는 식품이다. 단, 코코아로 먹을 때는 70% 이상 함유된 것을 먹는 것이 좋고, 포화 지방과 칼로리를 제한하기 위해 소량 섭취하는 것이 현명하다.
식물성 오일
식물성 기름이나 옥수수 기름을 피하고 필수 지방산인 오메가 3와 오메가 6 산의 균형이 잘 잡힌 카놀라, 올리브오일을 사용하자. 연구에 따르면 올리브 오일의 오레오산탈이라는 성분은 항염 작용을 하며, 특히 심장 건강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견과류
견과류는 단백질 함량이 높고 포화 지방 함량이 낮으며 동물성 단백질과 달리 콜레스테롤이 없다. 단독으로 먹거나 좋아하는 요구르트, 샐러드 또는 건강에 좋은 요리에 추가해 섭취하면 된다.
하루 1/4 컵의 견과류는 붉은 고기를 먹는 것보다 염증을 더 많이 예방할 수 있다. 육류와 달리 견과류는 섬유질이 많아 더욱 좋으며, 가염보다는 무염 견과류를 먹는 것이 좋다.
녹차
녹차는 영양소와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고, 염증을 줄이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한 동물연구에서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생률과 중증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하루에 두 번, 차갑거나 뜨거운 것에 상관 없이 마셔주면 좋다. 단, 가공된 가루나 믹스 차가 아닌 녹찻잎이 들어 있는 티백을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카페인이 없는 품종을 고르면 더 자연스러운 효과를 볼 수 있다.
생강과 강황
생강과 강황도 항염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가지 모두 한국에서도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는 재료다. 다만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는 것은 주의가 필요하므로, 요리에 약간씩 가미해 매일 먹는 것이 좋다.
살사 소스
나쵸에 사용하는 살사를 매일 먹는 것도 도움이 된다. 보통 살사에는 토마토, 양파 및 기타 야채가 풍부하게 혼합되어 있어 비타민 C, 섬유질 및 항산화제를 섭취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된다. 다만 마트에서 파는 고칼로리 드레싱 대신 야채를 넣어 직접 만들어 먹는 것이 더 좋다.
폐를 건강하게 만드는 4가지 호흡운동 (0) | 2021.05.27 |
---|---|
과일 다이어트, ‘이렇게’ 해라 (0) | 2021.05.18 |
영양제, 나이대에 맞게 복용해야...20대부터 50대까지 복용하면 좋은 보충제 (0) | 2021.04.29 |
쓰고 남은 립밤,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 (0) | 2021.04.23 |
비타민, 먹는 시간도 중요하다! 언제 먹어야 할까? (0) | 2021.04.0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