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안전하게 간헐적 단식을 하는 방법 5가지

ⓗ·생활건강

by Madara 2021. 4. 26. 16:36

본문

반응형

 

아마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대부분은 ‘간헐적단식’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지난 몇 년간, 가장 뜨거운 다이어트 트렌드 중 하나가 바로 간헐적 단식입니다. 이 방법은 절대적으로 체중을 감량할 수 있는 방법일뿐만 아니라, 고콜레스테롤이나 고혈압, 수면부족, 인슐린저항, 심지어는 알츠하이머 병에도 효과가 있는 방법이라고 알려지기도 했습니다.


영국의 유명 의학잡지에서는 2019년에 진행된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금식, 단헐적 간식이 스트레스를 없애고, 수명을 증가시키고, 암이나 비만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을 감소시킨다는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아침에 밥, 점심에 밥, 저녁에 밥을 꼬박꼬박 챙겨 먹어야 건강하다라고 생각했던 것이, 완전히 뒤집히는 내용입니다. 이에 헬스뉴스닷컴에서 간헐적단식의 좋은 점과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알아봤습니다.

 




'간헐적단식' 이란?

 

세상 모든 사람들은 하루 종일 뭔가를 먹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밥을 먹고, 점심이 되면 또 먹고, 저녁 식사를 합니다. 식사 후 잠이 들기 전까지는 각종 디저트나 간식으로도 배를 채우기도 합니다.

 


간헐적 단식은 이렇게 먹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입니다. 먹을 것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먹는 시간만을 줄이는 것. 이 방법은 별도의 장비나 보충제 등을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없고, 비용도 따로 들지 않는 것이 장점입니다.

 

 


안전하게 간헐적 단식을 하는 방법 5가지


식사 시간을 줄이는데 별다른 강제성은 없습니다. 또 간헐적 단식은 이미 오래전부터 종교나 문화생활을 하면서 시행되어 온 방법인 만큼, 위험성도 없습니다. 요즘은 단지 체중을 줄이고 다른 건강상의 도움을 얻기 위해 금식을 한다는 것만이 달라진 내용입니다.

 

 

 

 

1. 간헐적단식: 가장 일반적인 간헐적단식 패턴은 하루 12시간을 금식했다가 8시간이나 4시간 동안에만 먹는 방법입니다.

2. 하루 한 끼: 하루에 한 번만 먹는 방법입니다.

3. 격일 금식: 하루는 식사를 하고, 다음 날은 아예 굶습니다.

4. 장시간 금식: 24시간 이상 먹지 않는 방법입니다.

5. 5:2 식이요법: 5일동안은 정상적으로 식사를 하고, 2일 동안만 500~600칼로리만 섭취하는 방법입니다.

 

 

 



간헐적 단식은 건강상의 이점이 물론 많습니다. 어떤 연구에서는 단식이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고, 인슐린을 조절하는데도 도움이 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인체가 인슐린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면, 음식에서 얻은 에너지를 더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식사를 하지 않을 때도 배가 고프지 않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공복시에도 배고픔이 심하게 느껴지지 않게 된다는 것입니다.

간헐적단식의 이점이 아무리 많다고 해도, 누구나 쉽게 도전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은 의사와 먼저 상의 없이 마음대로 금식을 시작해서는 안됩니다. 또 통풍이 있는 사람도 무조건적인 금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과거에 저체중이었거나, 식이 장애를 겪은 적이 있는 사람들도 금물입니다.

 

 



반면, 건강 상태가 양호하고 체중 감량을 위한 대체 방법이 필요한 사람들은 도전을 권장합니다. 단, 이 때에도 되도록 주치의 등을 통해 상담을 한 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간헐적단식은 습관이 되면 그대로 오랫동안 유지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금식 중에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기분이 저하되거나, 스트레스가 쌓인다면 중단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어지럽고, 집중력이 떨어지고, 손이 떨리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몸에 영양분과 칼로리를 제공해 줘야 합니다.

금식 후 지나치게 폭식하는 사람 역시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자신에게는 맞지 않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만일 몇 시간 동안 단식을 한 상태라면, 이후 식사는 가벼운 스프나 죽 등으로 쉽게 소화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작권자 ⓒ 헬스뉴스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